Scientific Reports 13권, 기사 번호: 3894(2023) 이 기사 인용
855 액세스
2 알트메트릭
측정항목 세부정보
이제 대부분의 경우 서혜부 탈장 복구에 합성 메쉬가 사용됩니다. 소재에 관계없이 유치 메쉬가 신체에 배치된 후 수축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 직후의 메쉬 상태와 쉽게 비교할 수 있는 수술 후 메쉬 면적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었습니다. 메쉬를 고정하기 위해 X선 불투과성 태커를 사용하였고, 두 가지 메쉬 재료를 이용하여 수술 후 유치 메쉬의 변화를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다. 이 연구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메쉬를 사용하여 서혜부 탈장 치료를 받은 26명의 환자가 참여했습니다(각각 13명). 폴리프로필렌은 수축 경향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재질간 큰 차이는 없었다. 두 재료 모두 일부 환자에서는 상대적으로 강한 수축을 보였고 다른 환자에서는 상대적으로 약한 수축을 보였습니다. 수축이 강한 그룹의 체질량 지수가 유의하게 높았습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메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급격하게 수축하고 이 모집단의 환자 결과에 메쉬 수축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메쉬는 메쉬의 종류에 관계없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어들지만 환자의 결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서혜부 탈장 복구 수술은 McVay 방법이나 Bassini 방법과 같은 조직 복구 방법으로 시작되었지만 현재 복구에는 합성 재료를 사용하여 복벽을 강화하는 근본적인 수술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술적 접근법도 서혜부 절개에서 복강경 수술(TAPP) 접근법이나 완전 복막외 접근법과 같은 복강경 수술로 바뀌었습니다. 그 결과, 서혜부 탈장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위로 꼽히는 MPO(myopectineal orifice) 부위와 탈장 게이트를 직접 관찰할 수 있으며, 합성 메쉬로 결함 부위를 안정적으로 덮을 수 있어 재발률을 크게 줄였습니다. . 그러나 수술 후 메쉬의 수축이나 이동 등의 변화로 인해 재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폴리프로필렌(PP: 기공 크기 1.67 × 1.67mm, 중량 40.3g/m2)과 폴리에스터(PE: 기공 크기 1.7 × 1.3mm, 중량)에 대해 X선 불투과성 태커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한 메쉬 면적을 보고합니다. 117 g/m2) - 서혜부 탈장 복구 후 메쉬의 변화(그림 1).
태커 위치 및 면적 측정. (1) 치골의 등쪽 측면, (2) 쿠퍼 인대 (3) 복직근의 뒷면, (4) 하상복부 동맥 및 정맥의 내부 가장자리, (5) 메쉬의 외부 상단 가장자리 . 이 점들을 연결하는 선을 추적하면 해당 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26명의 환자는 모두 남성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75세(65~91세)였습니다. 체질량지수(BMI)는 22.3(17.3~28.4)이었습니다. 환측은 오른쪽이 15예, 왼쪽이 8예였다. 평균 수술 시간은 52분이었고 수술 중 출혈량은 모든 예에서 2g 미만이었습니다. PP메쉬는 13예, PE메쉬는 13예를 사용하였다.
계산된 면적의 변화율은 수술 후 1개월에 89.6%, 수술 후 3개월에 85.8%, 수술 후 6개월에 84.8%, 수술 후 12개월에 83.7%였다(Fig. 2). 메쉬 수축은 첫 달에 현저하게 진행되었으며 그 후 수술 후 12개월까지 점진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메쉬 수축은 PE에 비해 PP의 경우 더 큰 경향이 있었지만 그 차이는 크지 않았습니다(그림 3). 합병증으로는 2명의 환자에서 눈에 보이는 장액종이 발생하였으나 천자는 필요하지 않았으며 수술 6개월 후 검사에서 장액종이 사라졌다. 만성 수술 후 서혜부 통증(CPIP), 서혜부 탈장의 재발 및 기타 수술 후 합병증은 이 연구에서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수술 후 시간에 따른 메쉬 면적의 변화(수술 직후 면적을 100%로 함).
0.05). Also, in the group with shrinkage to < 90%, there was a tendency for shrinkage to continue beyond 1 month after surgery. This fact indicates that shrinkage continues after the acute phase has passed and the mesh is integrated into the tissue. A possible explanation for this is that patients with high BMI was likely have an adipose tissue component in the abdominal wall, and the adipose tissue can cause the whole tissue containing the mesh to slip. This can be inferred from the fact that there was no change in the tackers fixed to the strong supporting tissue of the pubic bone and Cooper’s ligament. Figure 5 is a radiograph that shows the change of tacker positions at 1 month after surgery in the patient with the largest mesh shrinkage. In this patient, 2 tackers were fixed to Copper’s ligament. The positions of 3 tackers placed on the ventral side (i.e., those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muscle, inner edge of the inferior epigastric artery and vein, and outer upper edge of the mesh) moved toward the tackers fixed to the pubic bone and Cooper’s ligament, which were in the deepest part of the surgical field. As seen in these radiographs, the positional relationships of the 3 tackers on the ventral side were maintained after they moved, suggesting that the mesh was not damaged and retained the tackers. Change of tacker positions associated with mesh shrinkage was a phenomenon observed on radiographs of all 26 patients at all time points. Taken together, this study confirmed that, in mesh fixation using nonabsorbable tackers, the tackers were firmly fixed to the solid structures (i.e., dorsal aspect of the pubic bone and Cooper’s ligament), while those fixed to the structures such as peritoneal tissue, fascial tissue, and adipose tissue moved along with mesh shrinkage. Because we cannot evaluate mesh condition using radiolucent fixation devices repair, the use of non-radiolucent fixation devices in obese patients with a high BMI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mesh condition and planning the next treatment when pain or symptoms of recurrence appear at a later date, simply by taking a pelvic x-ray./p>